뉴스로는 당일날 봤는데 이제야 포스팅을 해보게됐습니다.
현지 시각 10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유네스코 집행이사회의에서 한국의 '제주4·3기록물'과 '산림녹화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됐다고 국가유산청이 밝혔습니다.
'제주4·3기록물'은 제주4·3 민간인 학살 피해자의 진술과 화해 과정에 대한 기록으로,
인권의 중요성에 세계사적인 의미가 있습니다.
'산림녹화기록물'은 6·25전쟁 후 황폐해진 국토에 민·관 협력으로 산림을 푸르게 만든 경험이 담긴 기록물입니다.
두 기록물이 등재되면서 우리나라는 훈민정음과 조선왕조실록 등을 포함해 모두 20건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제주도는 모두 5건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을 보유하게 됐습니다.
자세한 내용과 그 의미와 가치등은 아래에 정리해 보겠습니다 ^^
🌍 제주 4·3,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
2025년 4월, 제주도에 또 하나의 역사적인 순간이 찾아왔습니다.
바로 ‘제주 4·3 사건 관련 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Memory of the World) 으로 등재된 것인데요.
이제 제주도는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세계자연유산, 세계지질공원, 인류무형문화유산(해녀)에 이어
세계기록유산까지 포함해 유네스코 5관왕이라는 타이틀을 얻게 되었습니다! 🏆✨
🗓️ 등재 추진 경과
- 2012년: 4·3유족회 및 도내 시민사회단체가 세계기록유산 등재 필요성 제기
- 2018년: 4·3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본격 준비 시작
- 2019~2022년: 4·3 기록물 전수조사 및 주요 기록물 선정, 추가 기록물 수집
- 2020~2022년: 전문가 자문 및 신청서 작성
- 2023년 10월: 국내 심사 통과
- 2023년 11월: 유네스코 본부에 등재 신청서 제출
📌 제주 4·3 등재 개요
- 등재 명칭: 진실을 밝히다: 제주 4·3 아카이브 (Revealing Truth: Jeju 4.3 Archives)
- 등재 일자: 2025년 4월 11일 (프랑스 기준 4월 10일)
- 등재 기관: 제221차 유네스코 집행이사회
- 신청 주체: 제주특별자치도, 제주4·3평화재단
- 총 기록물 수: 14,673건
🕊️ 등재 의미는?
유네스코는 이번 등재에 대해
"국가폭력에 맞서 진실을 밝히고, 사회적 화해를 이뤄낸 세계적인 모범 사례"
라고 평가했습니다.
이는 단순히 기록을 남기는 것을 넘어,
‘기억하고, 반성하며, 평화를 추구하는 전 인류적 노력’ 으로 인정받은 의미이기도 합니다.
🌋 제주, 유네스코 5관왕의 섬
- 🌱 생물권보전지역
- ⛰️ 세계자연유산 (한라산, 성산일출봉, 만장굴 등)
- 🪨 세계지질공원
- 🧜♀️ 인류무형문화유산 (해녀문화)
- 📜 세계기록유산 (제주 4·3 아카이브)
이제 제주는 단순한 관광지를 넘어서,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기억의 섬’이자 평화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 마무리하며
제주 4·3은 여전히 현재 진행형의 역사입니다.
이번 유네스코 등재는 단순한 성과를 넘어,
앞으로도 기억하고 되새겨야 할 과제임을 세계에 알리는 첫걸음이라고 생각합니다.
🕊️ 제주 4·3의 진실이, 앞으로도 많은 이들에게 전해지기를 바랍니다.
🌍 그리고 우리는 잊지 않고 계속해서 기억할 것입니다.
'제주 요모조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쌍둥이네 리포트] 제주도 이색 데이터 랭킹! 월급, 집값, 이혼율까지 : Jeju Unique Rankings 2025 (36) | 2025.04.27 |
---|---|
[제주쌍둥이네 리포트] 제주 육아 장단점(한달/일년살이 참고) : Real Life Parenting in Jeju (24) | 2025.04.23 |
[제주쌍둥이네 기억여행] 제주의 아픈 역사, 4.3사건 : Jeju 4.3 History (26) | 2025.04.21 |
[20년차 제주도민 작성, 제주도 상식] Jeju Trivia You Didn't Know (25) | 2025.04.18 |
[제주 쓰레기 분리수거 가이드] Jeju Waste Sorting Guide (33) | 2025.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