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은 제주 쓰레기 분리수거 가이드입니다 :D
* 제주 쓰레기 버리는 법 | How to Throw Away Trash in Jeju
* 제주 분리배출 기본편 | Jeju Waste Basics
* 제주 쓰레기 분류 팁 | Broken Ceramics & Food Waste
* 음식물·불연성·도자기·대형폐기물 | Food, Non-Burnables, Ceramics, Bulky Waste
* 음식물·도자기·대형 폐기물 | Jeju Trash Rules
* 제주살이 필수 정보 | Jeju Waste Disposal Tips
제주도에서는 쓰레기 배출을 요일과 품목별로 구분하여 시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클린하우스를 이용한 요일별 배출제는 주민과 관광객 모두가 지켜야 할 중요한 생활 규칙입니다.
아래에 제주도 쓰레기 배출 요일과 방법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D
🗓️ 요일별 재활용품 배출 안내 (클린하우스 기준)
🍽️ 음식물 쓰레기 배출 방법
- 배출 장소: 클린하우스 옆에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 종량기 이용
- 배출 시간: 24시간 가능
- 배출 방법: 교통카드(선불카드)로 종량기 사용
- ❗ 헷갈리기 쉬운 음식물 쓰레기 분류 예시(좌측이 음식물 쓰레기, 우측이 ♻️일반 쓰레기 🚫)
과일 🍎 사과·배 껍질, 🍌 바나나 속 🍊 귤껍질, 🍌 바나나 껍질, 🍑 복숭아씨 채소 🥕 당근·무 등 채소 조각 🌽 옥수수대, 🥬 파뿌리, 마늘껍질 곡류 🍚 남은 밥, 🍠 고구마·감자 속 🥔 감자·고구마 껍질 (튀김류 포함) 육류/생선 🍗 뼈 없는 고기 부스러기, 생선 살 🦴 고기/닭/생선 뼈, 🐚 조개껍질, 게딱지 기타 🍞 빵 부스러기, 🍳 계란흰자 🥚 달걀 껍데기, 🍬 젤리·껌·커피 찌꺼기
✅ TIP:
음식물 쓰레기인지 애매할 때는 **"동물이 먹을 수 있냐"**를 기준으로 판단하면 좋아요!
동물이 못 먹는 단단한 껍질이나 뼈는 일반 쓰레기로 처리해 주세요.
🗑️ 일반 쓰레기 배출 방법
- 배출 요일: 매일 배출 가능
- 배출 시간: 오후 3시부터 다음날 새벽 4시까지
- 배출 방법: 지정된 종량제 봉투에 담아 클린하우스에 배출
🛋️ 대형 폐기물 배출 방법
- 신청 방법: 제주시청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 가능( 대형폐기물 - 제주시)
- 배출 방법: 신청 후 발급받은 배출번호를 폐기물에 부착하여 지정된 장소에 배출
- 주의 사항: 배출번호 미부착 시 수거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부착
♻️ 재활용 도움 센터 이용 안내
- 운영 시간: 오전 6시부터 오후 10시까지
- 배출 품목: 재활용품 전 품목 (요일 제한 없음)
- 위치 확인: 서귀포시청 홈페이지에서 재활용 도움센터 위치 확인 가능
🧩 불연성쓰레기(유리, 도자기, 사기, 도기 등 타지않는 것)
- 배출 요일: 화요일, 토요일
- 배출 시간: 오후 3시부터 다음날 새벽 4시까지
- 배출 방법: 클린하우스에 버리거나 양이 많을 경우 '특수용(불연성)마대' 구입하여 폐기
- 판매처: 첨부한 엑셀파일 확인(2021년이 제일 최근이네요 'ㅅ';; 서귀포시는 미제공..)
이렇게 제주에서의 폐기물 배출에 대해서 포스팅해봤습니다 : D
서울을 포함한 육지에서는 이렇게까지 안하는걸로 알고있는데(바뀌었으려나..?)
로마에서는 로마법을 따르듯이!
제주도에서는 조금 귀찮더라도.. 부탁드립니다요!
이제 유네스코5관왕에 빛나는 세계문화유산의 섬이잖아요 ㅋ.ㅋ;;
그럼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의 파이팅을 기원하면서 마칩니다!
'제주 요모조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쌍둥이네 리포트] 제주도 이색 데이터 랭킹! 월급, 집값, 이혼율까지 : Jeju Unique Rankings 2025 (36) | 2025.04.27 |
---|---|
[제주쌍둥이네 리포트] 제주 육아 장단점(한달/일년살이 참고) : Real Life Parenting in Jeju (24) | 2025.04.23 |
[제주쌍둥이네 기억여행] 제주의 아픈 역사, 4.3사건 : Jeju 4.3 History (26) | 2025.04.21 |
[20년차 제주도민 작성, 제주도 상식] Jeju Trivia You Didn't Know (25) | 2025.04.18 |
[제주쌍둥이네 리포트] 제주 4·3 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 UNESCO Memory of the World Listing (31) | 2025.04.13 |